화제작 <미국식 영작문 수업>에 이은
토종 한국인을 위한 영작문 입문서
상고에서 야간대로, 대학원에서 유학으로, 영어 실력 하나로 미 박사과정까지 진학한 <미국식 영작문 수업>의 저자가 이번에는 초중급자를 위한 영작문 입문서 <미국식 영작문 수업_입문>로 다시 독자를 찾아왔다. 전작 <미국식 영작문 수업>이 세련된 고급 영문 만들기를 위한 지침서였다면, 새롭게 내놓은 ‘입문편’은 원어민이 읽고 쓰고 말하는 자연스러운 영문 만들기를 위한 초중급자용 지침서를 표방한다.
왜 초중급자일까? 초보자는 영문 만들기 자체가 어렵고 중급자는 어색한 영문이 고민이다. 최소한의 의사소통만 이루어지면 그만인 회화와는 달리 글쓰기에는 문법과 어휘, 언어 관습과 글쓰기의 규칙을 넘나드는 광범위한 지식이 필요하다. 초급자는 알아야 할 지식과 지켜야 할 규칙이 버겁고 중급자는 이 지식을 갖추는 데 들인 시간과 노력에 비해 결과물이 마뜩잖다. 게다가 말은 발화 즉시 휘발되지만 글은 한번 세상에 내보내면 되돌리기도 어렵다. 하물며 우리말도 아닌 외국어로 써야 한다면? 덜컥 포기하고 싶은 마음부터 들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영작문이 복잡할 필요도, 완벽할 필요도 없다고 말한다. 영문을 쓰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문법과 5가지 기본 문형, 핵심 동사만 알아도 영작의 감각을 깨울 수 있다는 게 20여년에 걸친 경험에서 우러나온 저자의 조언이다.
미국 대학생의 글쓰기를 지도한
영작문 전문가가 알려주는
입문자를 위한 영작의 기술
저자는 최소한의 기초 영문법만 알아도 영작의 절반은 해결된다고 말한다. 기본 문형으로 이루어진 모범 예문을 모방하고 암기하는 공부법을 첫 번째 전략으로 제시하는 것도 그래서다. 저자가 모범 예문의 보고로 주목한 미국 초등 교재는 그런 의미에서 영작 초중급자를 최적의 참고서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의사소통법과 자기표현법을 본격적으로 다루는 초등 교재를 참고하면 원어민이 일상적으로 읽고 쓰고 말하는 5가지 기본 문형을 변형 반복하는 훈련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5가지 기본 문형과 동사는 떼려야 뗄 수 없다. 동사가 문형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동사가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 해당 의미가 어떤 문장 형식을 만드는지를 알면 영작이 한결 쉬워진다. 영문 만들기를 위한 두 번째 전략으로 동사 학습을 권하는 이유다. 특히 활용도 높은 동사 위주로 함께 어울려 쓰이는 문형을 익히고 변형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면 영작의 체계를 세우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평범한 초보자도
원어민 부럽지 않은 영문을 구사하는 비법
동사 다음으로 중요한 요소가 명사/형용사/부사다. 저자는 문장의 의미를 보다 풍부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명사/형용사/부사 만드는 법을 세 번째 학습 전략으로 꼽는다. 동사와 더불어 문장을 구성하는 이 세 가지 요소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알면 영작문의 원리가 한눈에 보일 뿐 아니라 어떤 영문이 좋고 나쁜지를 분간하는 안목도 저절로 생겨난다.
여기까지 소화했다면 사실상 영작 이론 학습은 끝난 셈이다. 기본기를 갖췄으니 이제는 머릿속에 입력시킨 모범 예문을 바꾸고 응용하고 재배열하고 대체하면서 변형 반복하는 연습이 남았다. 어렵고 화려한 문장보다 기본 토대가 탄탄한 쉬운 문장이 전달력도 높은 법이다. 기본 문형을 통해 영작의 기술을 익히고 명문과 악문을 구분하는 안목을 발휘해 문장을 좀 더 섬세하고 날카롭게 다듬는 수준을 갖춘다면 누구나 원어민 부럽지 않은 영문을 구사할 수 있다.
| 500자 소개 | 화제의 필독서 <미국식 영작문 수업>에 이은 영작문 입문서
영어회화에 자신 있다는 사람도 영작문이라면 고개를 내젓는 경우가 많다. 말은 최소한의 의사소통만 가능하면 그만이지만 글은 그렇지 않다. 문법, 어휘, 언어 관습과 글쓰기의 규칙을 망라하는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발화 즉시 사라지는 말과 달리 글은 한번 쓰면 두고두고 남으니 부담도 배가된다. 하물며 우리말도 아닌 외국어로 쓰라면? 들었던 펜도 슬며시 내려놓을 수밖에 없다.
상고에서 야간대로, 대학원에서 유학으로, 영어 실력 하나로 미 박사과정까지 진학한 저자는 영작이 복잡할 필요도, 완벽할 필요도 없다고 말한다. 영작문에 100% 활용 가능한 최소한의 문법과 핵심 동사, 5가지 기본 문형만 알아도 누구나 영작문의 장벽을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을 통해 전하는 저자의 핵심 메시지다.
저자에 따르면 영작의 시작과 끝은 기본 문형을 변형할 줄 아는 감각에 있다. 그의 관점에서 모범적인 영어 문형의 보고는 미국 초등 교재다. 일상적인 언어생활에 필요한 기초 문법을 다지고 이를 글쓰기에 적용하며 기초적인 의사소통법과 자기표현법을 본격적으로 학습하는 시기가 바로 초등 과정이기 때문이다. 원어민이 쓰고 읽고 말하는 기본 문형과 이 문형을 변형하는 데 필수적인 명사/형용사/부사 만드는 법을 익히고 나면 누구나 원어민 부럽지 않은 자연스러운 영문을 구사할 수 있다.
저자 소개
최정숙
영어 하나로 인생이 바뀌는 경험을 한 ‘영작문 전문가’. 남들보다 한참 뒤처진 출발을 벌충하기 위해 치열한 노력 하나만 믿고 영어에 부단히 매진한 결과 얻은 타이틀이다. 상고를 나와 주경야독하며 야간대를 다녔고, 이 무렵 본격적으로 흥미를 붙인 영어를 전업으로 삼을 요량에 돌연 대학원에 들어가 장학금 지원을 받고 유학까지 다녀온 입지전적 경력의 소유자다.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재학 시절, 주요 일간지 인터넷판 영어 기사를 번역하는 일로 등록금을 충당하며 피 말리는 마감에 시달린 보상인지 고급 영문에 대한 안목이 생겼다. 논리적 영어 글쓰기에 매달리며 작문에 도가 튼 덕분에 대학원 졸업과 함께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때까지도 두 달간 학업과 무관한 이유로 미국 땅을 밟아본 게 전부였던 저자는 본토 영어를 제대로 공부하고픈 열망을 불태우며 또다시 유학길에 올랐다. 미 캘리포니아 주립대에서 문화인류학 박사과정 재학 당시 학부생의 글쓰기를 지도하며 영어에 대한 자신감뿐 아니라 원어민에 뒤지지 않는 작문 실력을 키웠다.
오롯이 혼자 힘으로, 생존을 위한 생활 영어로 시작해 학업을 위한 학술 영어까지 섭렵하며 끊임없이 도전한 끝에 결국 영어 학습의 최고 경지인 고급 영작문에 가닿았다. 한국에 돌아온 후로는 제도권·비제도권 교육기관을 넘나들며 토종 한국인을 위한 고급 영어 글쓰기 강의를 꾸준히 이어왔다. 지은 책으로 <미국식 영작문 수업>이 있다.
책 속에서
기초 문법을 익힌 다음에는 주요 동사로 만든 대표 문형들과 친해져야 합니다. 영어를 시작할 때 보통 1형식은 주어+동사, 2형식은 주어+동사+보어, 하는 식으로 문장의 형식부터 익히는 이유도 영어 구조의 밑그림을 보여 주기 위해서입니다. 문형은 동사와 떼려야 뗄 수 없습니다. 실상 동사가 문장의 형식을 결정하죠. 기본 문형 학습이 1이라면 동사 학습이 99인 셈입니다. 따라서 특정 동사가 어떤 뜻으로 쓰이고, 이 뜻이 몇 가지의 문장 형식을 만드는지 정확히 알아야 내가 원하는 문장을 원하는 만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_본문 5쪽
영어의 기본은 동사에 관한 지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어떤 동사가 어떤 문장 형식을 만들어 내는지를 알아야 영작문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다양한 문장 형식을 만들어 내는 동사일수록 중요도와 활용도가 높습니다. 가령 다양한 뜻을 지닌 get은 1~5형식 문장을 모두 만들 수 있는 핵심 동사라 할 수 있죠. 동사가 어떤 뜻으로 쓰이는지, 해당 의미가 어떤 문장 형식을 만드는지를 알아야 문장의 구조와 글쓰기의 체계를 세울 수 있습니다. 동사의 사전적인 의미만 대충 파악하고 넘어간다면 영작문의 본질은 놓치는 반쪽짜리 공부에 머물고 말죠. 따라서 문장을 만드는 조건은 무엇인지, 동사와 문장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부터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_본문 11쪽
영작문의 원리는 퍼즐과 같습니다. 제각기 다른 모양의 조각들을 제자리에 끼워 넣으며 하나의 그림을 완성시키는 놀이가 퍼즐이라면, 다양한 영단어들을 제각기 어울리는 자리에 넣어 하나의 문장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 영작문이라 할 수 있죠. 그렇다면 영작문에서 퍼즐에 해당하는 ‘조각’과 ‘자리’는 무엇을 가리킬까요?
‘자리’는 주어, 술어, 목적어, 목적격 보어, 주격 보어로나뉘는 5개의 자리를 말합니다. ‘조각’은 ‘말조각’, 즉 각각의 단어를 가리키며,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로 나누어 흔히 ‘8품사’라 부르죠. 각각의 단어가 어떤 품사냐에 따라 문장 속 자리가 결정되기 때문에 단어가 어떤 품사로 쓰이는지를 꼭 알아 두어야 합니다. _본문 12쪽
주어 자리에는 명사/대명사, 술어 자리에는 동사, 목적어 자리에는 명사/대명사, 목적격 보어 자리에는 명사/대명사/형용사, 주격 보어 자리에는 명사/대명사/형용사가 들어갑니다. 눈썰미가 있다면 뭔가 이상한 점을 알아차렸을 텐데요, 8품사 중 명사/대명사/동사/형용사만 쓰이는 게 이상하지 않나요? 그럼 나머지 품사는 왜 있는 걸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나머지는 ‘수식’을 위해 존재합니다. ‘수식’은 의미를 더 분명히 전달하기 위해 다른 말을 꾸며 준다는 말이죠.
문장은 크게 핵심어와 수식어 자리로 나뉩니다. 핵심어주어, 술어, 목적어, 목적격 보어, 주격 보어가 놓이는 자리는 정해져 있지만, 수식어 자리는 특정 핵심어를 꾸며 주고 싶을 때마다 임의로 만들어 낼 수 있죠. 수식이 필요할 때 나머지 4개의 품사가 쓰이는 거고요._본문 12~13쪽
한국인들은 1형식, 3형식, 4형식 문형을 선호하는 반면, 2형식과 5형식 문형은 잘 구사하지 못합니다. 반대로 원어민들은 2형식과 5형식 문형을 즐겨 쓰는데요, 이 두 문형이 군더더기 없는 간결한 문장을 만들기 때문이죠. 가령 ‘날씨가 좋지 않아 우리는 집에 있었다’를 영어로 옮길 때 한국인 대다수는 We stayed home because the weather was bad.(1형식+1형식)라고 쓰지만, 원어민은 The bad weather made us stay home.(5형식)이라고 쓰는 경우가 더 흔합니다. 좀 더 자연스러운 영어를 구사하고 싶다면 이처럼 우리가 잘 쓰지 못하는 문형들을 파악하고 암기하고 적용해 보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2형식과 5형식 동사를 중심으로 한 문형은 꼭 알아 둬야 하죠._본문 21쪽
‘~가 되다’를 뜻하는 동사, 하면 2형식 동사 become이 자동으로 떠오르죠? ‘~가 되다’는 ‘상태가 바뀌거나 변하다’를 뜻하는데요, ‘추워지다, 따뜻해지다’처럼 ‘어떤 상태로 됨’을 뜻하는 우리말의 ‘~(해)지다’에 해당하죠. 한국인들은 ‘~가 되다’를 무조건 become으로 옮기는 습관이 있지만, 원어민들은 문맥에 따라 become 외에 come, go, turn, grow, get, fall, run 등 저마다 다른 뉘앙스를 지닌 동사를 씁니다._본문 22쪽
우리말에서는 상태나 동작을 표현할 때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다/~하다’를 주로 쓰다 보니 영어의 be동사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인지 They are quiet.와 They keep quiet.의 차이를 잘 구분하지 못하죠. 하지만 원어민들은 어떤 상태나 동작이 유지되느냐 아니냐에 따라 keep과 be동사를 가려 씁니다._본문 36쪽
‘문을 열어 두세요’는 영어로 어떻게 옮길까요? 대부분 Open the door.라고 답할 겁니다. 하지만 자세히 따져 보면 틀린 답입니다. ‘문을 여세요’와 ‘문을 열어 두세요’는 엄연히 다른 의미니까요. ‘여세요’는 닫혀 있는 문을 열어 달라는 요청이라면, ‘열어 두세요’는 열려 있는 문을 열린 상태 그대로 두라는 말이죠. 그럼 어떤 동사를 쓰면 될까요?
저라면 세 가지 후보를 고려해 볼 텐데요, 바로 5형식 동사 keep, leave, hold입니다. Keep the door open.이라고 하면 문이 닫히지 않도록 신경을 쓴다는 어감을 전달할 수 있는 데 반해, Leave the door open.이라고 하면 열린 채로 내버려 두라는 의미를 나타내죠. 반면 Hold the door open.이라고 하면 일시적으로 열어 놓는 것, 즉 언제든 닫힐 수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손으로 문을 잠깐 잡고 있을 때도 Hold the door open.이라고 하죠._본문 50쪽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말입니다. 수식받는 명사의 형태가 다양하듯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도 다양한 형태를 띠죠. 명사처럼 형용사도 문장 속에서 구와 절 형태로 모양을 달리하며 등장합니다. 형용사구는 부정사구, 전치사구, 분사구로, 형용사절은 관계대명사절과 관계부사절로 형태를 바꾸는데요, 형용사의 형태가 다양한 만큼 문장 구조도 더 복잡해지고 의미상 미묘한 차이도 생기게 마련이죠. 형용사는 수식어에 속하지만 문장의 의미를 보다 구체화한다는 점에서 명사나 동사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_본문 157쪽
우리는 ‘그는 어려움에 처해 있다’를 He is in trouble.이라고 옮기는 경우가 거의 없죠. 우리말이 동작, 상황, 상태 등을 주로 동사로 표현하는 동사 중심 언어다 보니 나타나는 습관 때문인데요, 그럼 원어민은 상태나 상황을 나타낼 때 어떤 방법을 쓸까요? 이럴 때 바로 전치사구가 활약합니다. _본문 190쪽
전치사구 관용 표현을 제대로 활용하면 자연스러운 원어민 영어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가령 우리는 ‘위기가 닥쳤을 때’를 영어로 옮길 때 대개 when으로 문장을 시작하지만 원어민들은 간단하게 in times of crisis라고 하죠. 마찬가지로 ‘친구가 없을 때’도 when으로 시작하지 않고 in the absence of friends라고 표현합니다.
우리말의 수식 구조가 종속접속사를 쓴 부사절과 유사해서인지 한국인들은 부사절을 지나치게 많이 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영작문을 하고 나면 어색한 느낌이 드는 것도 그래서죠._본문 25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