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책 소개 



“단결이 차별을 만든다!”
사회학자 오찬호 강력 추천!
아마존 사회 정치 1위!


차별과 혐오를 즐기는 것은 인간의 본성인가?


  학교든 직장이든 사람이 있는 곳에는 늘 차별과 괴롭힘이 뒤따른다. 대부분의 경우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며 개인의 잘못으로 치부하지만 정말 도덕성이 결여됐기 때문에 타인을 괴롭히는 것일까? 인간 사회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현상과 인물을 과학적 시점으로 해독하는 솜씨로 정평이 나 있는 뇌 과학자이자 의학박사, 나카노 노부코. 그녀는 여기에 의문을 느꼈다. 학교, 직장, 집단에서 반복되는 차별과 집단 괴롭힘의 근본적인 원인이 정말 개인의 도덕성 결여에서 비롯되는 것인지, 그 인간의 본성과 집단 괴롭힘의 메커니즘을 파헤치기 위해 과학적 잣대를 들이밀며 면밀하게 분석했다. 2016년 강남역 살인 사건과 문화예술계 성폭력 고발 운동 그리고 정치경제 및 교육계 유명 인사들의 갑질이 폭로되자 사람들은 (성)차별과 폭력 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하고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언론과 사법부의 ‘재벌, 정치인 봐주기’ 의혹으로 뭇매를 맞고 있는 실정이다. 도대체 우리 주변에는 왜 이렇게 차별과 갑질 문화가 횡행하는 것일까? 어떻게 하면 그것들을 근절할 수 있을까?
  이 책의 저자 나카노 노부코는 인간이 종(種)으로 존속하기 위해서 차별과 괴롭힘 같은 사회적 배제 행위를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나를 지키기 위해서 내가 살아남기 위해서 타인을 공격할 수밖에 없는 환경적 요소가 한몫했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서열을 매기는 문화가 뿌리 깊이 박혀버렸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나이로, 성장할수록 학벌과 성별, 외모, 직업, 연봉 같은 조건으로 차별과 괴롭힘을 자연스럽게 습득한다. 가해자들의 공통점은 절대 자신보다 우위에 있는 존재, 즉 강자는 공격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상대적 약자 또는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을 공격하고 짓밟는다는 것이다. 권력자에게는 싫은 내색조차 하지 못하고, 그들에게서 받은 스트레스를 나보다 약한 사람에게 푼다. 다시 말해 가해자들은 상대방을 무시하면서 자신의 존재감을 느끼는 사람들이다.
  인격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인간이기에 타인을 괴롭히면서 쾌감을 느끼는 게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도 있을 텐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도덕성은 관계없다. 뇌 과학자답게 저자는 개개인의 도덕성이 아니라 뇌 속 호르몬이 인간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저자는 차별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서 아주 평범하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데, 이것은 ‘악은 의외로 평범하다’는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사회학자 오찬호는 이 책의 해제를 통해 “단결이 차별을 만든다! 이 멋진 문장이 이 책 속에 있다. 저자는 차별하는 인간의 뇌를 설명하면서도 그 차별이 쉽게 나타나는 사회 배경이 무엇인지 정확히 짚는다”는 추천의 변을 밝혔다. 아이들의 왕따 문제와 어른들의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 혐오 문제 등에 대한 대응책을 뇌 과학으로 풀어나가는 이 책은 새로운 관점과 실용적인 해결책을 담보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 횡행하는 차별과 괴롭힘, 갑질 문제를 해결하는 결정적인 실마리를 제공해줄 것이다.





 저자 소개 


지은이  나카노 노부코 中野信子
뇌 과학자, 의학박사, 인지과학자.
1975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도쿄대 공학부 응용화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의학계 연구과 뇌신경의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그 후 프랑스 국립연구소에서 뉴로스핀(NeuroSpin) 박사 연구원으로 근무한 다음 귀국했다. 뇌와 심리학을 주제로 연구와 집필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으며 과학의 관점으로 인간 사회에서 벌어지는 현상과 인물을 해독하는 솜씨로 정평이 나 있다. 현재는 히가시니혼 국제대학 특임 교수로 강단에 서고 있다.


옮긴이  김해용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맨 뒷자리에서 남들을 따돌린 채 수업받다가 졸업, 만화잡지 기자와 출판 편집자로 패를 이루기도 했다. 하지만 근원적으로 집단 혹은 조직의 생리와 맞지 않다고 생각하여 나만의 세계, 번역의 길로 전업한 후 『AX』, 『버라이어티』, 『나오미와 가나코』, 『브레이브 스토리』, 『퍼펙트 블루』 등의 일본 소설과 『나는 왜 혼자가 편할까?』, 『좋아하는 것을 돈으로 바꾸는 법』 등의 자기 계발서를 번역했다. 이밖에도 혼자 놀기 좋아하는 성향 탓에 많은 만화와 라이트 노벨을 번역하는 데도 손을 댄 바 있다.




 밑줄 긋기 


동료를 시기하거나 경멸하고 따돌리는 행위는 나쁜 짓이고, 그런 짓은 ‘몇몇 사람’만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테지만 실제로는 상황에 따라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49쪽


집단 괴롭힘은 대개 잘못한 사람을 바로잡으려는 의도에서 출발합니다. 상대가 잘못했기 때문에 제재하는 게 당연하고, 거기서 자신은 옳은 일을 했다는 쾌감을 느낍니다. 가해자는 자신이 한 행위가 정의에서 비롯된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기 때문에 ‘옳은 일을 하면 즐겁다’고 생각하면서 상대방을 쉽게 공격하거나 비판하게 됩니다. 63쪽


질투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감정이므로 원천적으로 막을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질투 대상이 불행해지면 뇌 안에서 쾌감을 관장하는 선조체 활동이 활발해져 기쁨을 느낍니다. 이것을 학계에서는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라고 합니다. 흔히 말하는 ‘타인의 불행이 나의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심리입니다.  77쪽


학교에서는 선과 악을 흑백논리로 가르칠 게 아니라 선 안에 있는 악, 악 안에 있는 선도 가르쳐야 합니다. 학교가 인간의 다양한 존재 방식을 가르친다면 집단의 정의 때문에 일어나는 폭력을 다르게 인식하지 않을까요?  175쪽




 아마존 독자 서평 


★★★★★ 괴롭힘은 조직을 지키기 위한 제재 행동이며 생존 본능이다. 인간이 타인을 괴롭히는 현상을 새로운 시점으로 날카롭게 분석하고 있다.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고, 한 번쯤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이다.  _ET


★★★★★ 갑질과 괴롭힘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러한 과학적 진실을 하나하나 확인하는 것이 아닐까?  _捨玖磨


★★★★★ 누군가를 괴롭히면 내가 손해를 본다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괴롭힘은 사라질 것이다. 규범의식이 강한 집단일수록 괴롭힘이 일어나기 쉽다는 지적은 왠지 공감이 됐다.  _mamacoco


★★★★★ 나는 옳은 일을 하고 있다고 믿어 의심치 않으면서 타인을 괴롭히는 것이 인간이다. 그 점을 받아들이면 새롭게 시작할(희망을 품을) 수 있다.  _as it is




 출판사 서평 



“단결이 차별을 만든다!”
사회학자 오찬호 강력 추천!
아마존 사회 정치 1위!



차별과 혐오를 즐기는 것은 인간의 본성인가?


타인을 무시하면서 존재감을 느끼는 사람들
과연 나는 예외인가?

‘나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누군가를 차별한/괴롭힌 적이 없다.’
이렇게 단언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존재할까? 학교든 직장이든 사람이 있는 곳에는 늘 차별과 괴롭힘이 뒤따른다. 교실에서는 아이들이, 사회에서는 어른들이 권력을 악용해 상대적 약자나 소수자에게 폭언뿐 아니라 폭행, 성희롱까지 일삼는 사건이 끊이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며 개인의 잘못으로 치부하지만 정말 도덕성이 결여됐기 때문에 타인을 괴롭히는 것일까? 인간 사회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현상과 인물을 과학적 시점으로 해독하는 솜씨로 정평이 나 있는 뇌 과학자이자 의학박사, 나카노 노부코. 그녀는 여기에 의문을 느꼈다. 학교, 직장, 집단에서 반복되는 차별과 집단 괴롭힘의 근본적인 원인이 정말 개인의 도덕성 결여에서 비롯되는 것인지, 그 인간의 본성과 집단 괴롭힘의 메커니즘을 파헤치기 위해 과학적 잣대를 들이밀며 면밀하게 분석했다.
  2016년 강남역 살인 사건과 문화예술계 성폭력 고발 운동 그리고 정치경제 및 교육계 유명 인사들의 갑질이 폭로되자 사람들은 (성)차별과 폭력 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하고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언론과 사법부의 ‘재벌, 정치인 봐주기’ 의혹으로 뭇매를 맞고 있는 실정이다. 도대체 우리 주변에는 왜 이렇게 차별과 갑질 문화가 횡행하는 것일까? 어떻게 하면 그것들을 근절할 수 있을까?
  이 책의 저자 나카노 노부코는 인간이 종(種)으로 존속하기 위해서 차별과 괴롭힘 같은 사회적 배제 행위를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나를 지키기 위해서 내가 살아남기 위해서 타인을 공격할 수밖에 없는 환경적 요소가 한몫했다는 것이다. 경쟁 사회에서는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약육강식의 법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서열을 매기는 문화가 뿌리 깊이 박혀버렸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나이로, 성장할수록 학벌과 성별, 외모, 직업, 연봉 같은 조건으로 차별과 괴롭힘을 자연스럽게 습득한다. 그래서 도지사는 자신의 지위를 내세워 여비서를 성폭행하고, 재벌은 막강한 권력을 이용해 직원에게 폭언/폭력을 일삼고, 선배 간호사는 교육이라는 명분을 앞세워 신입 간호사를 괴롭히고, 고용주는 열정 페이를 운운하며 취준생들의 노동을 착취하고, 교수는 학점/취업을 빌미로 학생에게 갑질하는 것이다. 가해자들의 공통점은 절대 자신보다 우위에 있는 존재, 즉 강자는 공격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상대적 약자 또는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을 공격하고 짓밟는다는 것이다. 권력자에게는 싫은 내색조차 하지 못하고, 그들에게서 받은 스트레스를 나보다 약한 사람에게 푼다. 다시 말해 가해자들은 상대방을 무시하면서 자신의 존재감을 느끼는 사람들이다.


타인의 불행은 곧 나의 행복!

학교, 직장, 집단에서 벌어지는 차별과 괴롭힘에 대한 심층 분석서
인격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인간이기에 타인을 괴롭히면서 쾌감을 느끼는 게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도 있을 텐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도덕성은 관계없다. 타인을 괴롭히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행위라는 건 누구나 이성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알면서도 틈만 나면 타인을 차별하고 갑질을 자행하는 것이다. 도대체 왜 그런 만행을 저지르는 걸까? 인간의 뇌뿐 아니라 행동, 심리까지 연구한 저자는 이렇게 주장한다.
  “인간이 괴롭힘을 그만두지 못하는 이유는 내 탓이 아니라 뇌 탓입니다. 인간의 뇌는 타인을 공격하면서 쾌감을 느끼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기 때문이죠.”
  천성이 선하든 악하든 관계없이 인간은 누구나 호르몬에 지배를 받는다. 애정이 지나치면 사랑 호르몬 옥시토신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질투심과 배제 감정이 증폭되고,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이 감소하면 불안감과 우울증이 깊어진다. 그리고 쾌감 호르몬인 도파민에 중독되면 이성보다 감정이 앞서게 된다. 즉 인간은 너무 사랑하기 때문에 괴롭히고, 너무 불안하기 때문에 따돌리고, 쾌감을 느끼기 때문에 차별하는 것이다. 뇌 과학자답게 저자는 개개인의 도덕성이 아니라 뇌 속 호르몬이 인간의 행동을 결정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무자퍼 셰리프가 실시한 로버스 동굴 공원 실험, 여교사 제인 엘리엇이 주도한 파란 눈, 갈색 눈 실험, 대학 교수 필립 짐바르도가 실행한 스탠퍼드 대학 감옥 실험을 예로 들며 각각의 호르몬 분비에 따라 어른뿐 아니라 어린아이가 타인을 어떻게 차별하고 괴롭히는지, 그 연쇄 반응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이를 통해 저자는 차별은 특별한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에서 아주 평범하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데, 이것은 ‘악은 의외로 평범하다’는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그동안 학교나 직장에서 무수히 반복되는 집단 괴롭힘과 약자에 대한 혐오 등은 개인의 문제로 몰아가며 마녀사냥을 하고, 또 다른 폭력을 낳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차별과 혐오를 즐기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라고 밝히는 저자만의 시각이 돋보이는 이 책은 우리가 차별과 괴롭힘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고 논의하는 데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다.


단결할수록 차별한다!
뇌 과학을 통해 우월감을 추구하는 인간 본성을 탐구하다

저자는 교실이라는 사각지대에서, 일터라는 직장에서 끊임없이 괴롭힘이 발생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단결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 탓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 귀에 못이 박힐 정도로 ‘모두 하나로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요받으며 자랐다. 어떤 미션이 주어졌을 때 ‘한마음 한뜻’이 되어 동참하는 걸 당연하게 여긴다. 이때 꾀를 부리거나 협조하지 않으면 공공의 적으로 낙인찍히고 서서히 집단에서 배제된다. 그 무리에 동조하지 않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피해자가 되기 전에 가해자로 둔갑한다. 자신이 차별당하지 않기 위해 타인을 차별하고, 자신이 괴롭힘 당하지 않기 위해 타인을 괴롭히는 것이다. 그 반면에 가해자는 꾀를 부리며 비협조적인 상대가 잘못했기 때문에 제재하는 게 당연하고, 거기서 자신은 옳은 일을 했다는 쾌감을 느낀다. 가해자는 자신이 한 행위가 정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기 때문에 ‘옳은 일을 하면 즐겁다’고 생각하면서 괴롭힘을 그만두지 못하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가해자들이 끈끈하게 뭉칠수록 피해자는 더욱 고립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그리고 ‘협조, 연대, 협력, 단결’ 같은 집단의 일원화에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개개인의 개성과 자유를 존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일침을 날린다. 사회학자 오찬호는 이 책의 해제를 통해 “단결이 차별을 만든다! 이 멋진 문장이 이 책 속에 있다. 저자는 차별하는 인간의 뇌를 설명하면서도 그 차별이 쉽게 나타나는 사회 배경이 무엇인지 정확히 짚는다”는 추천의 변을 밝혔다.
통일과 화합을 강조했던 일본뿐 아니라 한국 사회에도 사회적 고정관념을 전복시킨다는 게 이 책의 강력한 장점이다. 또한 아이들의 왕따 문제와 어른들의 직장 내 괴롭힘, 성희롱, 혐오 문제 등에 대한 대응책을 뇌 과학으로 풀어나가는 이 책은 새로운 관점과 실용적인 해결책을 담보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 횡행하는 차별과 괴롭힘, 갑질 문제를 해결하는 결정적인 실마리를 제공해줄 것이다.